ROOM 1 | ROOM 2 | ||||
---|---|---|---|---|---|
08:50-09:00 | 개회사 | ||||
정책 세션 | |||||
09:00-09:40 | 지속가능한 초고령사회 실현을 위한 도전과 과제 | 홍석철 (서울대학교) | |||
09:40-10:20 | 초고령사회와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 | 홍윤철 (서울의대) | |||
10:20-10:40 | 패널토론 | 정통령 (보건복지부) | |||
10:40-11:00 | Coffee Break | ||||
Plenary Lecture | |||||
11:00-12:00 | stroke과 dementia의 common risk factors (추후변경) |
석승한 (원광대학교) | |||
Special Lecture 1 | |||||
12:00-12:20 | 이상지질혈증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의 죽상동맥경화증 예방을 위한 치료 전략 | 김광일 (서울의대) | |||
12:20-13:30 | 점심식사 | ||||
신경과 | 돌봄통합지원법과 요양병원 돌봄서비스 현황 | ||||
노인 환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감각 이상과 운동 증상, 그리고 인지 기능 저하를 종합적으로 다룹니다. 손발 저림과 떨림의 원인 규명부터 최신 치료 옵션까지 실제 진료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진단·관리 전략을 제시하며, 노인 치매와 섬망의 감별 진단 및 치료 접근법을 통해 환자 안전과 삶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합니다. |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따라 보건의료 체계가 어떻게 변화하고 요양병원의 역할이 확장되는지 살펴봅니다. 요양병원 간병비 지원 시범사업 참여 경험을 통해 실제 운영상의 성과와 과제를 공유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합니다. 이어 스마트돌봄기술 적용 사례를 통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혁신적 돌봄 솔루션과 기대 효과를 소개합니다. | ||||
13:30-14:00 | 노인 손발저림의 진단과 치료 | 이형수 (국립의료원) | 13:30-14:00 | 돌봄통합지원법에 따른 보건의료의 변화방향 | 이혜진 (서울의대) |
14:00-14:30 | 노인 떨림의 진단과 치료 | 김률 (보라매병원) | 14:00-14:30 | 요양병원 간병비지원 시범사업 참여경험 | 안소희 (전주나은요양병원) |
14:30-15:00 | 노인 치매와 섬망 | 편정민 (서울의대) | 14:30-15:00 | 요양병원에서의 스마트돌봄기술 적용사례 | 가혁 (인천은혜요양병원) |
15:00-15:30 | Coffee Break | ||||
소화기 | 노쇠/근감소/노인증후군 | ||||
노인에서 소화성 궤양과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의 최신 지견을 소개하고, 고령 환자 대상 내시경 시 안전성을 높이는 실질적 방법을 제시합니다. 더불어 우연히 발견된 췌담도 영상 이상 소견의 평가와 관리 전략을 통해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고 적절한 추적 계획을 수립하는 방안을 공유합니다. |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포괄적 평가를 통해 의료·돌봄 요구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맞춤형 퇴원 계획 수립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어 근감소증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최신 도구와 기준을 소개하여 조기 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근감소증 예방과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운동 프로그램과 재활 전략을 통해 기능 유지 및 삶의 질 향상 방안을 공유합니다. | ||||
15:30-16:00 | 노인에서의 소화성궤양과 헬리코박터 치료 | 최종경 (국립중앙의료원) | 15:30-16:00 | 노인 입원환자의 노인포괄평가와 퇴원계획 세우기 | 강민구 (전남의대) |
16:00-16:30 | 고령환자에서의 안전한 내시경 | 김진용 (광동병원) | 16:00-16:30 | 근감소증의 진단도구와 진단 기준 | 최정연 (서울의대) |
16:30-17:00 | 노인에서 우연히 발견된 췌담도 영상 이상 소견의 관리 | 정주원 (을지의대) | 16:30-17:00 | 근감소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운동과 재활 | 박형규 (전남의대) |